본문 바로가기
세상속으로

경쟁에 세뇌당한 아이들, 이번 추석엔 꼭 껴 안아주세요~

by Ganze 2016. 9. 13.



교육을 ‘상품’이 아닌 물과 공기처럼 누구나 골고루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공공재’로 보는 유럽 선진국 교육에는 경쟁도 없고 일제고사도 없다. 일등지상주의도 사교육도 없다. 공부하고 싶은 학생은 언제든지 무료로 배울 수 있고, 경쟁이 없으니 학벌도 없으며, 서로 존중하고 배려하는 분위기 가운데 앞으로 살아갈 세상을 자신의 수준에 맞게 준비할 뿐이다.

그런데

대한민국에 태어났다는 이유로 청소년기를 반납하고, 살아남기 위해 친구마저 적으로 간주하는 경쟁 속에서 학창시절을 보낸 아이들이 학교를 졸업하면 원하는 세상을 만날 수 있을까? 천만의 말씀이다. 하늘의 별따기 같은 취업시장을 돌파하기 바쁘게 갚아야 할 학자금이 삶을 옥죈다. 태반은 신분이 보장되지 않는 비정규직으로 살며 온갖 불이익을 감수해야 한다. 이런 젊은이들의 현실을 포착하기에는 ‘7포 세대’라는 말로도 부족한 감이 있다.


경쟁과 효율에 무게중심을 두는 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결과만 중시하는 인간을 길러내는 교육에서 벗어날 수 없다. 비판능력을 상실한 채 자본의 충실한 노예가 되는 시민을 길러내면서 평등과 복지의 가치를 실현하는 나라를 꿈꾸는 건 어불성설이다. 언제까지 우리는 교육을 ‘상품’으로 보는 뒤틀린 교육을 그대로 둘 것인가?

*김용택, '참교육 이야기' 서평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