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원주지역 중소상인들로 구성된 '대형마트 반대 대책위원회(위원장 박완식)와
원주시의회 의원 및 4·11총선 예비후보들이 롯데마트 원주점 앞 도로에서
대형마트(롯데마트·AK프라자·홈플러스) 입점 철회를 촉구하는 플래카드를 앞세우고
가두행진을 하고 있다. (원주=뉴시스)
------------------------------------------------------------------------------------------
선거철을 앞두고 포퓰리즘(대중영합주의) 논쟁이 한창이다.
기업들은 정치권의 인기영합에 대해 이래저래 불만이 많은 듯하다.
카드사들이 중소 가맹점의 수수료에 관한 정부의 개입을 두고 반발하고 있다.
대형 유통업체들 또한 정부의 중소상인 보호 정책에 대해 기업의 회장까지 나서
거친 말을 쏟아내고 있다.
영업권 방해라느니, 선진국 어디에도 찾아볼 수 없는 불필요한 규제,
이러다 나라 망할 것이라는 극단적인 말들을 쏟아낸다.
그동안 그들이 과격한 세력이라 몰아붙였던 반정부 단체들의 성명서에 버금가는 수준이다.
그들이 가장 강조하는 것은 시장질서와 소비자 이익이다.
소비자들이 좋은 제품을 싸게 살 권리를 위해 자유로운 시장질서는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대형마트에서의 소비는 싸게 살 권리를 위한 실리보다는
오히려 가계 소비구조를 왜곡한다.
우선 소비의 양이 늘어난다는 점이다.
대량 판매와 과학적으로 설계된 전시 효과, 진열 효과 등의 마케팅 전략 앞에 대량 소비와
충동 소비를 하기 때문이다.
대형마트에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혹시 필요할지’ 모를 것들이 즐비하다.
또한 온갖 할인 미끼 전략으로 우리의 손해 보기 싫은 감정을 자극한다.
‘나중에 제 값 주기 싫은’ 마음에 충동적인 소비를 유도한다.
대형마트의 마케팅 전략은 마트 가기를 가족의 정해진 이벤트로 만들어 버리는
탁월한 실력에까지 이른다.
무엇을 구매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그저 일요일이니까, 딱히 갈 곳이 생각나지 않아서,
왠지 냉장고가 허전해서 등등의 이유로 분명한 구매욕구가 없어도 소비자들의 발길을
잡아끈다.
그렇게 막연한 동기로 마트를 찾지만 그곳에 가면 사야 할 것들이 떠오르고 심지어
그것이 양손 가득 쇼핑 비닐을 채운다.
결국 필요와 선호에 의해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대형마트가 제시하는 것들에
필요와 선호가 결정나 버리는 것이다.
대형마트 사장들이 확신하는 소비자 이익, 즉 싸게 살 권리는 사실상 ‘그냥 사고, 많이 사고,
충동적으로 사는’ 소비 행위로 인해 과연 실리적인지 의문을 갖게 한다.
재무 상담 과정에서 상담사들은 소비자들에게 대형마트 방문 횟수를 줄여보라고 권유한다.
소비자들은 처음에는 적응하기 힘들어 한다. 이미 대형마트 방문이 습관이 되어버렸기
때문에 방문을 줄이면 왠지 불안하다는 것이다.
무조건 상담 후 3주간만 참아보라고 권하고 3주 후 점검을 한다.
결과는 무척 재미있다. 모두가 그런 것은 아니지만 많은 소비자들이 처음 1주간은 불안하고
2주째는 불편하고 3주째는 익숙해진다는 것이다.
결국 매주 가던 마트를 3주간이나 가지 않았지만 처음에 예측했던 것과 같은 불편한 일은
발생하지 않았다.
식탁의 반찬 수가 조금 줄었지만 따지고 보면 냉장·냉동식품이 줄었다.
생활 용품도 갑자기 치약이 부족하거나 샴푸는 멀쩡한데 린스가 떨어졌다.
이전 같으면 바로 대형마트로 달려갔겠지만 가까운 슈퍼에서 개별 소비로 해결했다.
3주 후의 결과는 생활에서 약간 불편했지만 약간의 소비 불편 앞에서 매번 대형마트로
달려가던 또 다른 불편이 사라졌고 결정적으로 카드 청구액 혹은 통장의 잔액이
크게 달라졌다고 말하는 소비자들이 많다.
게다가 3주 정도 연습하면 막연한 불안과 불편에 적응하게 된다.
따라서 조금씩 대형마트 쇼핑을 줄이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만 봐도 소비자들의 상당수가 불필요한 소비를 습관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치약 한 개를 낱개로 구매하면서 묶음으로 살 때보다 다소 더 비싼 값을 치렀는지는 모르지만
적어도 집 안에 잡동사니를 더 들여놓기 위해 카드를 긁지는 않은 셈이다.
어느 소비자는 대형마트를 완전히 끊었다. 그리고 소비는 간결해졌고 통장이 두 개가 더 생겼다.
그 통장으로 휴가를 넉넉하게 계획하게 되었다고 더 크게 만족한다.
대형마트 사장들이 이야기하는 소비자 실리는 사실상 착각이었다.
( 제윤경, 에듀머니 )
'Money talk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 흐름 (0) | 2012.04.04 |
---|---|
돈의 역습 (0) | 2012.03.29 |
아깝다 ! 영어 헛고생 (0) | 2012.02.08 |
inner peace (0) | 2012.02.05 |
인생 이모작 (0) | 2012.01.19 |